ISO 21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 216은 A, B, C 세 가지 계열의 종이 크기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이다. A 계열은 가로세로 비율이 인 황금비를 따르며, A0 크기를 기준으로 절반씩 줄어드는 특징을 갖는다. B 계열은 A 계열의 기하 평균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C 계열은 A 계열과 B 계열의 기하 평균을 따른다. 이 표준은 종이 크기 조정의 용이성, 종이 무게 계산의 간편함 등의 장점으로 인해 사무, 인쇄,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A4 용지가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이 크기 - 타블로이드
타블로이드는 1880년대 후반 영국의 압축 알약 상품명에서 유래하여 소형 신문을 의미하며, 선정적인 보도와 가십성 기사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 문방구 - 종이
종이는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기록 및 인쇄 매체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채륜에 의해 개량 및 보급되었고,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발전을 거듭하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지만 지속 가능한 생산과 환경 문제가 남아있다. - 문방구 - 고무줄
고무줄은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띠로, 물건을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원료로 다양한 크기, 색상, 재질로 생산되는 일상적인 소모품이다. - ISO 표준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ISO 표준 - ISO 3166-1
ISO 3166-1은 국가 식별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숫자 코드, 알파벳 두 글자(alpha-2), 세 글자(alpha-3) 코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유엔의 통계적 분류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코드가 할당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ISO 216 | |
---|---|
ISO 216 | |
![]() | |
개요 | |
유형 | 종이 크기 |
제정 | 국제 표준화 기구(ISO) |
발표일 | 1975년 |
관련 표준 | ISO 269 (봉투) ISO 5457 (도면) ISO 217 |
크기 | |
A0 | 841 × 1189 mm (33.1 × 46.8 in) |
A1 | 594 × 841 mm (23.4 × 33.1 in) |
A2 | 420 × 594 mm (16.5 × 23.4 in) |
A3 | 297 × 420 mm (11.7 × 16.5 in) |
A4 | 210 × 297 mm (8.3 × 11.7 in) |
A5 | 148 × 210 mm (5.8 × 8.3 in) |
A6 | 105 × 148 mm (4.1 × 5.8 in) |
A7 | 74 × 105 mm (2.9 × 4.1 in) |
A8 | 52 × 74 mm (2.0 × 2.9 in) |
A9 | 37 × 52 mm (1.5 × 2.0 in) |
A10 | 26 × 37 mm (1.0 × 1.5 in) |
B0 | 1000 × 1414 mm (39.4 × 55.7 in) |
B1 | 707 × 1000 mm (27.8 × 39.4 in) |
B2 | 500 × 707 mm (19.7 × 27.8 in) |
B3 | 353 × 500 mm (13.9 × 19.7 in) |
B4 | 250 × 353 mm (9.8 × 13.9 in) |
B5 | 176 × 250 mm (6.9 × 9.8 in) |
B6 | 125 × 176 mm (4.9 × 6.9 in) |
B7 | 88 × 125 mm (3.5 × 4.9 in) |
B8 | 62 × 88 mm (2.4 × 3.5 in) |
B9 | 44 × 62 mm (1.7 × 2.4 in) |
B10 | 31 × 44 mm (1.2 × 1.7 in) |
C0 | 917 × 1297 mm (36.1 × 51.1 in) |
C1 | 648 × 917 mm (25.5 × 36.1 in) |
C2 | 458 × 648 mm (18.0 × 25.5 in) |
C3 | 324 × 458 mm (12.8 × 18.0 in) |
C4 | 229 × 324 mm (9.0 × 12.8 in) |
C5 | 162 × 229 mm (6.4 × 9.0 in) |
C6 | 114 × 162 mm (4.5 × 6.4 in) |
C7 | 81 × 114 mm (3.2 × 4.5 in) |
C8 | 57 × 81 mm (2.2 × 3.2 in) |
C9 | 40 × 57 mm (1.6 × 2.2 in) |
C10 | 28 × 40 mm (1.1 × 1.6 in) |
역사 | |
기원 | 독일의 DIN 476 표준 (1922년) |
비율 | :1 (1:1.4142...) |
용도 | |
일반적인 용도 | 편지지, 서적, 잡지 등 |
2. 종류
ISO 216은 A 계열, B 계열, C 계열 세 가지 주요 계열의 종이 크기를 정의한다. A 계열과 B 계열은 ISO 216에 정의되어 있으며, 봉투를 위한 C 계열은 ISO 269에서 나중에 확장되었다.
A 계열 종이는 (황금비) 비율을 가지며, A0는 넓이가 1m2인 종이이다. A1, A2, A3, A4 등은 이전 크기 종이를 짧은 변에 평행하게 이등분하여 자른 것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A4는 210mm × 297mm 크기이다.
B 계열 종이 크기는 같은 번호의 A 계열 종이 크기와 그 이전 번호의 A 계열 종이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예를 들어 B1은 A1과 A0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B0은 크기가 1000mm × 1414mm이다.
C 계열 종이 크기는 같은 번호의 A 계열 종이 크기와 B 계열 종이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C 계열은 주로 봉투에 쓰이며, A4 종이는 C4 봉투에 들어가고, A4 종이를 반으로 접은 A5 크기는 C5 봉투에 들어간다.
다음은 ISO 216에 따른 A, B, C 계열의 종이 크기를 나타낸 표이다.
크기 | A 계열 형식 | B 계열 형식 | C 계열 형식 | ||||||
---|---|---|---|---|---|---|---|---|---|
이름 | mm | 인치 | 이름 | mm | 인치 | 이름 | mm | 인치 | |
4A0 | 1682mm × 2378mm | 약 168.15cm × 약 237.74cm | |||||||
2A0 | 1189mm × 1682mm | 약 118.87cm × 약 168.15cm | |||||||
A0 | 841mm × 1189mm | 약 84.07cm × 약 118.87cm | B0 | 1000mm × 1414mm | 약 100.08cm × 약 141.48cm | C0 | 917mm × 1297mm | 약 91.69cm × 약 129.79cm | |
A1 | 594mm × 841mm | 약 59.44cm × 약 84.07cm | B1 | 707mm × 1000mm | 약 70.61cm × 약 100.08cm | C1 | 648mm × 917mm | 약 64.77cm × 약 91.69cm | |
A2 | 420mm × 594mm | 약 41.91cm × 약 59.44cm | B2 | 500mm × 707mm | 약 50.04cm × 약 70.61cm | C2 | 458mm × 648mm | 약 45.72cm × 약 64.77cm | |
A3 | 297mm × 420mm | 약 29.72cm × 약 41.91cm | B3 | 353mm × 500mm | 약 35.31cm × 약 50.04cm | C3 | 324mm × 458mm | 약 32.51cm × 약 45.72cm | |
A4 | 210mm × 297mm | 약 21.08cm × 약 29.72cm | B4 | 250mm × 353mm | 약 24.89cm × 약 35.31cm | C4 | 229mm × 324mm | 약 22.86cm × 약 32.51cm | |
A5 | 148mm × 210mm | 약 14.73cm × 약 21.08cm | B5 | 176mm × 250mm | 약 17.53cm × 약 24.89cm | C5 | 162mm × 229mm | 약 16.26cm × 약 22.86cm | |
A6 | 105mm × 148mm | 약 10.41cm × 약 14.73cm | B6 | 125mm × 176mm | 약 12.45cm × 약 17.53cm | C6 | 114mm × 162mm | 약 11.43cm × 약 16.26cm | |
A7 | 74mm × 105mm | 약 7.37cm × 약 10.41cm | B7 | 88mm × 125mm | 약 8.89cm × 약 12.45cm | C7 | 81mm × 114mm | 약 8.13cm × 약 11.43cm | |
A8 | 52mm × 74mm | 약 5.08cm × 약 7.37cm | B8 | 62mm × 88mm | 약 6.10cm × 약 8.89cm | C8 | 57mm × 81mm | 약 5.59cm × 약 8.13cm | |
A9 | 37mm × 52mm | 약 3.81cm × 약 5.08cm | B9 | 44mm × 62mm | 약 4.32cm × 약 6.10cm | C9 | 40mm × 57mm | 약 4.06cm × 약 5.59cm | |
A10 | 26mm × 37mm | 약 2.54cm × 약 3.81cm | B10 | 31mm × 44mm | 약 3.05cm × 약 4.32cm | C10 | 28mm × 40mm | 약 2.79cm × 약 4.06cm | |
-- | -- | -- |
2. 1. A 계열
A 계열의 종이는 가로세로 비율이 1영어:√2|루트 2한국어(황금비)이다.[5][6] A0 크기는 1m²이며, A1, A2, A3 등으로 숫자가 커질수록 크기가 절반씩 줄어든다. 즉, A(n+1)의 긴 변 길이는 An의 짧은 변 길이와 같다. 따라서 A 계열 종이를 반으로 접거나 자르면 보다 작은 크기의 A 계열 종이가 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A4 용지는 210x 크기이며,[5][6] 이는 레터 용지보다 약 6mm 더 넓고 18mm 더 짧다.2의 제곱근을 사용하는 기하학적 이유는 A 계열 용지를 더 큰 변에 수직으로 반으로 자르거나 접은 후에도 각 다음 직사각형의 종횡비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2. 2. B 계열
B 계열 종이 크기는 같은 번호의 A 계열 종이 크기와 그 이전 번호의 A 계열 종이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예를 들어 B1은 A1과 A0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B0은 B1의 두 배이므로 그 크기가 1000mm × 1414mm가 된다.[7] B0의 짧은 변 길이는 정확히 1m이다.B 계열은 "A 계열의 인접한 크기 사이에 기하 평균을 배치하여 크기의 보조 계열을 얻습니다."라는 표준으로 정의된다. 기하 평균을 사용하면 B0, A0, B1, A1, B2...와 같은 크기 단계마다 이전 단계보다 같은 비율만큼 작아진다. A 계열과 마찬가지로 B 계열의 길이는 √2|루트 2영어의 비율을 가지며, 종이를 반으로 접고 (가장 가까운 밀리미터로 반올림) 다음 계열을 얻는다.
B 계열은 같은 번호의 A 계열 크기와 그보다 한 단계 작은 A 계열 크기의 기하 평균이다. 예를 들어, B1은 A1과 A0의 기하 평균이다. B0의 두 변 길이는 1m와 √2|루트 2영어m이다.
Bn 용지의 정확한 세로 길이(mm)는 라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호 는 바닥 함수이다.
2. 3. C 계열
C 계열 종이 크기는 같은 번호의 A 계열 종이 크기와 B 계열 종이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예를 들어 C2는 B2와 A2 크기의 기하평균이다. C 계열 종이는 주로 봉투에 쓰이는데, A4 종이는 C4 종이로 만든 봉투에 들어가며, A4 종이를 반으로 접으면(즉 A5 크기) C5 종이로 만든 봉투에 들어가게 된다. C 계열 용지의 가로 세로 비는 A 계열 및 B 계열과 마찬가지로 √2이다.[1]A4 용지를 접지 않고 C4 봉투에 넣을 수 있다. 가로 세로 비가 같기 때문에, A4 용지를 반으로 접어 A5 크기로 만들면 C5 봉투(C4 봉투를 반으로 접은 것과 같은 크기)에 들어간다.[2]
2. 4. 오차 범위
ISO 216영어 표준은 종이 크기의 허용 오차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1]길이 | 허용 오차 |
---|---|
150mm 이하 | ±1.5mm |
150mm ~ 600mm | ±2.0mm |
600mm 초과 | ±3.0mm |
ISO 216 표준의 기원은 1786년 10월 25일 독일 과학자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리히텐베르크가 괴팅겐 대학교의 요한 베크만에게 쓴 편지에서 언급된 종횡비를 기반으로 한 종이 크기 아이디어에서 찾을 수 있다.[2]
ISO 216 표준의 가장 큰 장점은 크기 조정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종횡비가 인 직사각형 종이는 긴 변을 기준으로 반으로 자르거나 접어도 원래 종이와 같은 비율을 유지한다.[4] 예를 들어 A4 용지를 반으로 접으면 A5 크기의 브로슈어를 만들 수 있다. 사무실 복사기나 프린터는 A4 페이지를 A5로 축소하거나 A3로 확대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두 장의 A4 용지를 한 장으로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ISO 216 형식은 1:√2 비율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두 장의 용지를 나란히 놓거나 방향을 바꿔도 같은 비율이 유지된다.[8] 예를 들어 A4 용지 두 장을 A5 크기로 축소하면 정확히 A4 용지 한 장에 맞고, A4 용지를 확대하면 A3 용지에 맞아 낭비나 부족이 없다.
A, B, C 시리즈는 ISO 216에 정의된 종이 크기 규격으로,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A 시리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크기이며, B 시리즈는 A 시리즈의 중간 크기, C 시리즈는 주로 봉투에 사용되는 크기이다.
DIN 476은 A0보다 큰 형식을 규정하며, 여기에는 2A0 및 4A0 형식이 포함된다. ISO 216:2007에서는 공식적으로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드물게 사용되는 크기로 언급하고 있다.[12]
3. 크기
크기 A 계열 형식 B 계열 형식 C 계열 형식 mm 인치 mm 인치 mm 인치 −2 4A0 1682 × 2378 66.2 × 93.6 −1 2A0 1189 × 1682 46.8 × 66.2 0 A0 841 × 1189 33.1 × 46.8 B0 1000 × 1414 39.4 × 55.7 C0 917 × 1297 36.1 × 51.1 1 A1 594 × 841 23.4 × 33.1 B1 707 × 1000 27.8 × 39.4 C1 648 × 917 25.5 × 36.1 2 A2 420 × 594 16.5 × 23.4 B2 500 × 707 19.7 × 27.8 C2 458 × 648 18.0 × 25.5 3 A3 297 × 420 11.7 × 16.5 B3 353 × 500 13.9 × 19.7 C3 324 × 458 12.8 × 18.0 4 A4 210 × 297 8.3 × 11.7 B4 250 × 353 9.8 × 13.9 C4 229 × 324 9.0 × 12.8 5 A5 148 × 210 5.8 × 8.3 B5 176 × 250 6.9 × 9.8 C5 162 × 229 6.4 × 9.0 6 A6 105 × 148 4.1 × 5.8 B6 125 × 176 4.9 × 6.9 C6 114 × 162 4.5 × 6.4 7 A7 74 × 105 2.9 × 4.1 B7 88 × 125 3.5 × 4.9 C7 81 × 114 3.2 × 4.5 8 A8 52 × 74 2.0 × 2.9 B8 62 × 88 2.4 × 3.5 C8 57 × 81 2.2 × 3.2 9 A9 37 × 52 1.5 × 2.0 B9 44 × 62 1.7 × 2.4 C9 40 × 57 1.6 × 2.2 10 A10 26 × 37 1.0 × 1.5 B10 31 × 44 1.2 × 1.7 C10 28 × 40 1.1 × 1.6 -- -- --
A 계열 종이는 (황금비)의 종횡비를 가지며, 각 크기는 이전 크기 용지의 짧은 변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은 크기이다. A0는 1m2의 면적을 가진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크기는 A4 (210 × 297 mm)이다.
B 계열은 같은 번호의 A 계열과 그보다 한 단계 작은 A 계열 크기의 기하 평균이다. 예를 들어 B1은 A1과 A0의 기하 평균이다.
C 계열은 같은 번호의 B 계열과 A 계열 크기의 기하 평균이며, 주로 봉투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A4 용지는 C4 봉투에, A4 용지를 반으로 접은 A5 용지는 C5 봉투에 들어간다.
4. 역사
1911년 빌헬름 오스트발트는 종이 보관 및 문서 복제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세계 표준 세계 형식(Weltformat)을 제안했다. 그는 리히텐베르크의 주장을 언급했지만, 이를 미터법과 연결했다.[3] 1918년 발터 포르스트만(Walter Porstmannde)은 종이 형식 시스템은 길이가 아닌 면적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와 면적 제곱미터(여기서 는 짧은 변의 길이, 는 긴 변의 길이)의 제약 조건을 사용했다.
1921년, 독일 산업 표준화 위원회(Normenausschuß der deutschen Industrie, 약칭 NADI, 오늘날 독일 표준화 연구소(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약칭 DIN))는 비율의 종이 형식 네 시리즈 사양인 독일 표준 'DI Norm 476'을 발표했다. A 시리즈는 항상 선호되는 형식 및 다른 시리즈의 기반으로 사용되었다. A0는 반올림 오차까지 1m2의 면적을 가지며, 너비는 841mm이고 높이는 1189mm이다. A4는 업무, 행정 및 정부 서신의 표준 용지 크기로, A6는 엽서로 권장되었다.
DIN 종이 형식 개념은 벨기에(1924년), 네덜란드(1925년), 노르웨이(1926년) 등 여러 국가에서 국가 표준으로 도입되었다. 1975년에는 국제 표준(ISO 216)이자 공식 유엔 문서 형식이 되었으며, 현재 아메리카의 여러 국가를 제외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1977년, 독일의 한 대형 자동차 제조업체가 조사한 결과 148개국 중 88개국이 이미 A 시리즈 형식을 사용하고 있었다.[10]
5. 장점
이러한 특성 덕분에 복사 및 인쇄 시 확대/축소가 용이하며, 용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ISO 216 시스템은 종이 무게 계산도 간편하게 한다. ISO 536에 따르면 종이의 평량은 제곱미터당 그램(g/m2) 단위로 정의된다.[4] 예를 들어, 80g/m2 용지로 만든 표준 A4 시트는 A0 크기의 1/16(반으로 네 번 접은 것)이므로 무게는 5g이다. 따라서 사용된 시트 수를 세어 우편 요금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6. 활용
오리가미와 같은 종이접기에서 1:√2 비율을 가진 직사각형 용지가 인기가 있으며, "A4 직사각형" 또는 "실버 직사각형"이라고도 불린다.[8]
ISO 용지 규격과 관련된 부속 규격으로는 ISO 128에 명시된 기술 도면 선 폭이 있다. 예를 들어, 선 유형 A("연속 - 굵은 선", "가시적 윤곽선"에 사용)는 A0 크기 용지에서는 표준 두께가 0.7 mm이고, A1 용지에서는 0.5 mm, A2, A3 또는 A4에서는 0.35 mm이다.[9]
기술용 펜의 일치하는 폭은 ISO 9175-1에 명시된 대로 0.13, 0.18, 0.25, 0.35, 0.5, 0.7, 1.0, 1.40, 2.0 mm이다. 각 크기에는 작성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색상 코드가 지정된다. 용지 크기와 마찬가지로 펜 폭은 √2영어 배씩 증가하여 특정 펜을 특정 크기의 용지에 사용하고, 도면을 축소 또는 확대 후에도 계속 작업할 수 있다.[10][11]선폭 (mm) 0.10 0.13 0.18 0.25 0.35 0.50 0.70 1.0 1.4 2.0 색상 | 적갈색 | 자주색 | 진홍색 | 흰색 | 황금색 | 갈색 | 강철색 | 초콜릿색 | 연한 바다색 | 은색
ISO 9175-1의 기반이 된 이전 DIN 6775 표준에서는 펜과 도면 템플릿의 호환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Micronorm''이라는 용어와 기호를 지정했으며, 이는 일부 기술 도면 장비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7. A, B, C 계열 비교
colspan="1" | A 계열 B 계열 C 계열 크기 mm in mm in mm in 0 841 × 1189 33.1 × 46.8 1000 × 1414 39.4 × 55.7 917 × 1297 36.1 × 51.1 1 594 × 841 23.4 × 33.1 707 × 1000 27.8 × 39.4 648 × 917 25.5 × 36.1 2 420 × 594 16.5 × 23.4 500 × 707 19.7 × 27.8 458 × 648 18.0 × 25.5 3 297 × 420 11.7 × 16.5 353 × 500 13.9 × 19.7 324 × 458 12.8 × 18.0 4 210 × 297 8.3 × 11.7 250 × 353 9.8 × 13.9 229 × 324 9.0 × 12.8 5 148 × 210 5.8 × 8.3 176 × 250 6.9 × 9.8 162 × 229 6.4 × 9.0 6 105 × 148 4.1 × 5.8 125 × 176 4.9 × 6.9 114 × 162 4.5 × 6.4 7 74 × 105 2.9 × 4.1 88 × 125 3.5 × 4.9 81 × 114 3.2 × 4.5 8 52 × 74 2.0 × 2.9 62 × 88 2.4 × 3.5 57 × 81 2.2 × 3.2 9 37 × 52 1.5 × 2.0 44 × 62 1.7 × 2.4 40 × 57 1.6 × 2.2 10 26 × 37 1.0 × 1.5 31 × 44 1.2 × 1.7 28 × 40 1.1 × 1.6
A 시리즈는 의 종횡비를 가지며, A0 크기는 1m2이다. B 시리즈는 같은 번호의 A 시리즈와 그보다 한 단계 작은 A 시리즈 크기의 기하 평균이며, C 시리즈는 같은 번호의 B 시리즈와 A 시리즈 크기의 기하 평균이다.
8. 기타 규격
8. 1. DIN 476 확장 형식
DIN 476은 A0보다 큰 형식을 규정하는데, A0의 두 배 크기인 2A0 및 네 배 크기인 4A0 형식을 포함한다.
이름 | mm × mm |
---|---|
4A0 | 1682mm × 2378mm |
2A0 | 1189mm × 1682mm |
ISO 216:2007에서는 공식적으로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주요 절단 크기 계열'(ISO A 계열) 표에 "드물게 사용되는 크기[2A0 및 4A0]도 이 계열에 속합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12] 2A0은 "A00"과 같은 다른 비공식적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Paper Sizes & Formats
https://www.papersiz[...]
2020-06-29
[2]
웹사이트
Lichtenberg's letter to Johann Beckmann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2006-02-07
[3]
저널
Loi sur le timbre (Nº 2136)
http://www.cl.cam.ac[...]
Republic of France
2024-01-20
[4]
웹사이트
ISO 536:2019(en):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grammage
https://www.iso.org/[...]
2019-11-00
[5]
웹사이트
A Paper Sizes – A0, A1, A2, A3, A4, A5, A6, A7, A8, A9
https://www.papersiz[...]
2018-08-02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Paper Sizes, Dimensions, Format & Standards
https://papersize.co[...]
2018-10-05
[7]
웹사이트
Japanese B Series Paper Size
http://www.paper-siz[...]
2010-04-18
[8]
웹사이트
The A4 rectangle
http://www.britishor[...]
British Origami Society
2009-05-06
[9]
웹사이트
Pen Sizes and Line Types
http://www.metricati[...]
2017-08-30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paper sizes
https://www.cl.cam.a[...]
2017-08-30
[11]
웹사이트
Technical drawing pen sizes
https://www.designin[...]
2017-08-30
[12]
웹사이트
A00
https://pixel2print.[...]
[13]
웹사이트
Loi sur le timbre (No. 2136)
http://www.cl.cam.ac[...]
2009-02-11
[14]
웹사이트
Lichtenberg’s letter to Johann Beckmann
http://www.cl.cam.ac[...]
2009-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